차를 처음 사거나, 차를 바꾸기 위해 중고차시장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이들 중 자동차 전문지식이 부족한 소비자들은 사고 난 차를 속아 사지 않을까 걱정한다. 이 같은 걱정이 심해지면 경제적으로 부담되더라도 새 차를 사는 쪽으로 방향을 틀기도 한다. 이 처럼 사고차는 중고차에 대한 불신을 키우는 것은 물론 소비자에게 피해를 주는 골칫거리로 여겨진다.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01년부터 성능 및 상태 점검 기록부 의무 발급제도를 도입했다. 자동차보험으로 처리된 사고 이력을 파악할 수 있는 자동차 사고이력정보서비스(카히스토리)도 등장했다. 현재로선 성능 및 상태를 점검받은 중고차를 구입하고, 카히스토리로 사고 여부를 살펴보는 게 가장 현실적인 대책이다. 하지만 두 방법만으로 사고 흔적을 100% 가려낼 수는 없다. 아직까지 성능점검이 제대로 정착하지 않은데다, 자동차보험으로 처리하지 않은 사고는 밝혀낼 수 없어서다. 솜씨 좋은 정비사들이 사고 흔적을 감쪽같이 감추는 ‘무빵 작업’을 할 경우 자동차 전문가들도 쉽게 사고 유무를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면 비전문가들도 사고차를 가려낼 방법이 있다. 자동차경매장에서 성능점검업체들이 경매 대상 차의 가치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개발한 감별법이다. 사고차 감별법을 체계화한 김영진 한국자동차평가 대표는 “중고차시장에 나온 대부분의 차는 성능점검기록부와 카히스토리로 사고 유무를 살펴본 뒤 몇 가지 감별법을 추가로 적용한다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사고차 10대 중 8대는 솎아낼 수 있다”며 “차를 사러갈 때 보닛, 패널, 펜더 등 자동차 부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한 뒤 감별 포인트를 정리해서 가져가면 비전문가도 사고차를 속아 살 걱정을 크게 덜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자동차평가의 도움을 얻어 비전문가들이 중고차를 살 때 사용할 수 있는 주요 사고차 감별법을 소개한다.
| |||
▶ 계기판 조작 조작된 기계식 계기판은 숫자 배열이 일치하지 않고 서로 어긋나 있다. 계기판과 차체를 연결하는 볼트에 빛을 비추면 흠집이 나 있다. 주행거리를 속이기 위해선 반드시 볼트를 풀어야 하기 때문이다. 전자식 계기판은 기계식과 달리 계기판을 떼어 수치를 수정할 수 없다. 대신 정상 주행거리보다 짧은 중고계판으로 교환하는 수법이 자주 사용된다. 따라서 연식에 비해 지나치게 주행거리가 짧은 건 아닌 지를 살펴본다. 1년에 2만㎞ 정도를 정상 주행거리로 본다. ▶ 판금 및 도색 차체의 색을 새로 칠하면 페인트 방울들이 튀기 마련이다. 펜더의 경우 바퀴를 덮고 있는 부위에 페인트 방울이 묻기 쉽다. 문짝은 유리 근처에 있는 고무패킹에 칠 자국이 남는다. 보닛이 꺾어지는 부분을 손가락으로 만지면 모래가루를 만지는 것처럼 까칠까칠하다. 판금작업을 거친 차는 태양을 마주하고 차 표면을 45도 각도로 보면 빗살들이 보인다. 기계로 판금한 경우 원모양의 자국이 남는다. 그러나 페인트칠이나 판금자국이 있다고 무조건 사고차라 단정하는 무리다. 흠집을 제거해 차를 보기 좋게 가꾸려고 도색이나 판금을 하는 차 주인도 많아서다. ▶보닛 교환 승용차의 앞부분은 엔진룸 등이 있는 중요 부위로 차를 살 때 가장 꼼꼼하게 살펴봐야 하는 부위다. 사고로 자주 교환되는 부위는 보닛(엔진룸을 감싼 덮개)이다. 보닛이 원래의 것이 아니라면 사고차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보닛을 열고 옆선을 보면 안쪽으로 철판이 휘어지는 부분이 보인다. 끝나는 부분에 실리콘 처리가 돼 있고 손톱으로 찍었을 때 손톱자국이 곧 사라지면 교환되지 않은 것으로 보면 된다. 그러나 교환사실을 숨겨 차 값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 처리작업을 따로 해 사고 흔적을 감추는 악덕업자도 있다. 이런 차의 실리콘은 자연광에 비춰보면 차체와 실리콘의 색이 다르고 손톱으로 누르면 지나치게 딱딱하거나 무르다. 차의 유리를 지탱하는 고무패킹을 손톱으로 눌렀을 때 느껴지는 강도와 비슷하다. 단 제작사에 따라 실리콘이 있는 부위와 강도가 차이난다. ▶ 지지패널 수리 보닛이 교환됐다면 차의 패널(라디에이터를 받치고 있는 가로로 된 쇠빔)을 살펴봐야 한다.패널이 수리됐다면 차체에 가해진 충격이 위험 수준에 이르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보닛을 열면 헤드라이트가 양 옆으로 꺾어지는 부분에 두개의 쇠 빔이 90도 각도로 마주보고 있다. 두 개의 쇠 빔을 연결할 때 실리콘을 쏜 뒤 볼트를 연결한다. 실리콘에 이상이 없는 지, 볼트를 풀었던 흔적이 없는 지를 점검해본다. ▶ 문짝 교환 문짝 교체 여부는 실리콘으로 알 수 있다. 다른 문짝의 실리콘과 같은 색깔, 비슷한 모양인지 확인한다. 또 공장에서 출고된 문짝으로 바꿨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차체와 연결된 볼트를 살펴봐야 한다. 문을 활짝 열고 차체와 연결하는 고리를 보면 사람 손으로 닿을 수 없는 부분까지 물청소한 것처럼 깨끗하면 의심할 필요가 있다. 무사고차의 문 연결고리를 물청소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서다. 단 외제차는 교환되는 문에도 실리콘이 있으므로 비전문가가 판단하기는 어렵다. ▶ 앞 펜더 교체 앞바퀴를 감싸고 있는 부분이 펜더다. 펜더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선 앞문과 보닛을 열어야 한다. 보닛 안쪽에 지지패널을 직각으로 해서 차체와 같은 방향에 펜더를 연결시켜주는 볼트가 있다. 볼트가 페인트에 묻어 있으면 정상이고 따로따로면 교환된 것이다. 또 앞문을 열면 펜더를 잡아주는 볼트가 있다. 이 볼트 역시 페인트로 덮여 있으면 정상이다. ▶ 뒤 펜더와 트렁크 교체 많은 소비자들이 차의 앞부분에는 많은 신경을 쓰지만 트렁크 안쪽까지는 보지 않는다. 그러나 주유구가 있는 뒤 펜더나 트렁크 부분에 사고가 나면 차체의 균형이 깨져 잡음과 잔고장이 발생하므로, 꼼꼼하게 살펴봐야 한다. 트렁크를 열면 고무패킹이 보인다. 그 안쪽을 벗겨보면 철판 모서리가 날카롭게 날이 서 있다. 그 부분이 매끄럽다면 트렁크 부위에 사고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매경인터넷 최기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카테고리 없음